통증진료 15

달리기 후 고관절이 아파요; (2) 고관절 충돌 증후군

고관절 통증의 또 다른 흔한 원인은 'FAI(Femoroacetabular Impingement, 고관절 충돌 증후군)'입니다. FAI는 고관절에서 대퇴골과 골반의 구조적 충돌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사타구니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납니다. FAI 환자들은 주로 고관절의 굽힘과 내회전에 제한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허벅지 뼈와 골반 뼈는 맞물린 관절 구조를 하고 있는데, 뼈의 구조적 이상으로 고관절 회전 시 '찝힘'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발생하는 병이지요. 앉아 있거나 구부릴 때 통증이 심해진다면 FAI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고관절 충돌 증후군이 의심될 때1. 신체검진1) ROM(관절 가동 범위) 평가FAI에서는 특히 고관절 굴곡과 내회전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자가 고관절을 굽히거나 다리를 안..

통증진료 2024.10.28

달리기 후 고관절이 아파요; (1) 장경인대증후군

달리기를 즐기는 사람들 중에서 고관절 통증을 경험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습니다.활발하게 운동하는 사람들에게서 한 번 통증이 생기게 되면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될 수 있습니다. 고관절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집니다.이 글에서는 러닝 등 스포츠 활동과 관련된 고관절 통증의 주요 원인 세 가지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1. 장경인대 증후군(Iliotibal band syndrome)러너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장경인대증후군은 무릎 통증의 흔한 원인이기도 하지만 고관절 통증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IT 밴드는 엉덩이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두꺼운 섬유조직으로, 과도하게 사용되면 염증이 발생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통증진료 2024.10.25

에페리손, 언제 처방해야 할까?: 급성 요통/경부통증에서 근이완제의 사용

정형외과에서 흔히 처방되는 에페리손(Eperisone) 제제는 근이완제로, 진통제는 아니지만 근육의 경직과 통증을 완화하는 데 흔히 사용됩니다. 오늘 글에서는 에페리손의 작용 기전과 치료 적응증, 그리고 사용 원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페리손의 작용 기전에페리손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동시에 억제함으로써 근육 이완 효과를 나타냅니다.1) 중추성 작용을 통해 척수 반사와 같은 신경 경로에서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여 근육 경직을 줄입니다. 동시에,2) 말초성 작용을 통해 근육으로 가는 신경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직접적인 근육 이완 효과를 발휘합니다. 또한3) 혈관 확장 효과가 있어, 근육 주변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산소와 영양소 공급을 증가시켜 근육 내 축적된 피로 물질의 제거를 도와 통증을 완화하는..

통증진료 2024.10.21

척추전방전위증의 영상학적 진단 방법: Meyerding's Grade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은 척추의 하나가 아래 척추에 비해 앞으로 밀려나가는 질환입니다. Spondylolisthesis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의학 용어입니다. "Spondylo-": 이는 그리스어 "σπόνδυλος (spondylos)"에서 유래했으며, "척추" 또는 "척추뼈"를 의미합니다. "-listhesis": 이는 그리스어 "ὀλίσθησις (olisthesis)"에서 유래한 단어로, "미끄러짐" 또는 "전위"를 뜻합니다.따라서 Spondylolisthesis는 "척추뼈가 미끄러지는 상태"라는 뜻을 가지게 되지요.  척추전방전위증이 생기면 척추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통증, 신경 압박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특히 요추, 즉 아래 허리 부분에서 자주 발생하..

통증진료 2024.10.14

목과 팔이 저리다면? <Spurling Test와 Lhermitte Test: 목뼈 신경 압박의 진단 도구>

교통사고 후에 목과 어깨로 이어지는 통증이 있으면서 팔이 저리다면? 의사들은 저린 통증은 신경 손상의 징후로 파악합니다.  MRI를 당연히 찍어 보아야겠지만, 일차적으로 저린 증상이 정말 척수의 신경압박 때문인지 검토하는 절차를 거칩니다.진료실에서 간단하게 해 볼 수 있는 이학적 검사가 Spurling Test와 Lhermitte Test 입니다. 오늘은 이 두 검사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1. Spurling TestSpurling Test는  Maximal Cervical Compression Test 나 Foraminal Compression Test 라고 불리기도 합니다.주로 "경추 신경근 압박(cervical radiculopathy)"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목뼈에서 나오는 신경뿌..

통증진료 2024.10.11

교통사고 후 목이 아프다면? 경추 골절 의심해 보아야

교통사고나 추락사고 이후 목 통증은 흔하게 발생합니다.가벼운 염좌나 근육통으로 지나가면 다행이지만 간혹가도 경추골절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초기에 뼈가 더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조기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어르신들께는 충격의 강도가 적은 저에너지 손상에서도 골절이 쉽게 발생하니 더욱 주의해야 겠지요? 오늘은 'Jefferson Fracture'로 대표되는 C1 level의 경추골절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경추 1번의 골절목뼈의 첫 번째 경추(C1, Atlas bone)에 발생하는 골절은 주로 외부에서 강력한 압력이 머리 또는 목에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C1은 두개골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상체와 두개골 간의 회전, 굽힘, 폄과 같은 움직임을 담당..

통증진료 2024.10.08

Occipitocervical Instability (후두경추 불안정성)에 대하여

후두경추 불안정성(Occipitocervical Instability, OCI)은 두개골 기저부인 후두골(Occiput)과 경추 상부(특히 C1과 C2 척추뼈) 사이의 관절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거나 불안정한 상태를 말합니다. 후두경추 해부학 및 기능후두골과 경추 사이의 관절은 머리와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C1(아틀라스)과 C2(축추) 사이의 관절은 목의 회전과 굴곡, 신전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후두경추 불안정성의 원인OCI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중 가장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외상: 자동차 사고, 낙상 등의 외부 충격으로 후두경추 관절의 인대와 뼈가 손상되면서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으로 ..

통증진료 2024.10.07

석회성 건염 환자들을 위한 일상생활 관리 팁

오늘은 많은 분들이 고통받고 계신 '석회성 건염'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석회성 건염은 말하자면 우리 어깨 힘줄에 작은 '돌멩이'가 생기는 병입니다.. 이 돌멩이가 주변 조직을 찌르고 자극해서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하는 거죠. 마치 신발 속에 돌멩이가 들어간 것처럼 말이에요. 대략 인구 100명 중 3-8명 정도가 석회성 건염을 앓고 있고, 특히 30-60대 여성분들에게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오늘은 석회성 건염으로 고통받고 계실 분들을 위한 일상생활 속 관리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석회성 건염의 관리 팁1. 얼음 찜질과 온찜질: 통증 완화와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급성기(심하게 아플 때): 하루 3-4번, 15-20분씩 얼음찜질만성기: 온찜질 후 얼음찜질 번갈아 하기2. 적절한 운동..

통증진료 2024.07.15

발뒤꿈치가 보내는 SOS, 족저근막염

아침에 일어나서 첫 발을 내딛는 순간 찌릿한 통증으로 소리 지르신 적 있으신가요? 아니면 하루 종일 일하고 돌아와 신발을 벗었을 때 발뒤꿈치가 쑤시고 아팠던 적은요? 이런 경험이 있다면 여러분은 '족저근막염'에 걸렸을 가능성이 큽니다. 족저근막염은 우리 발바닥의 근막, 즉 근육을 감싸는 막에 생기는 염증인데요, 일어나서부터 잠에 들 때까지 발바닥은 우리 몸의 하중을 견디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고통을 겪는 분들이 생각 외로 많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원인부터 증상, 진단 방법,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법과 예방법까지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족저근막염, 의학적으로 보면?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족저근막(plantar fascia)에 미세한 파열과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 뼈에서 시작해 ..

통증진료 2024.07.12

허리디스크 운동치료, 피해야 하는 운동이 있다.

허리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30~50세 사이에 제일 흔하지만, 디스크의 두 번째로 큰 원인이 외상인 만큼 최근에는 운동을 즐겨 하시는 20대 젊은 환자들도 종종 찾아오십니다. 허리디스크는 만성적으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약물치료나 주사치료가 통증을 가라앉히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적절한 운동치료를 통해 주변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는 것 역시 중요한데요. 하지만 어떤 운동은 허리디스크에서 꼭 피해야 하기 때문에 잘 알고 계셔야 합니다. 오늘은 허리디스크에서 피해야 할 운동을 소개드리겠습니다.허리에 디스크 통증이 있는 경우 피해야 하는 운동은? 디스크 탈출증으로 현재 통증이 있다면, 디스크 손상을 악화시키는 운동을 피해야 합니다. 1 . 허리를 굽히는 운동 (윗몸일으키기) 척추뼈는 앞으로 굽혔을 때 사이 공간..

통증진료 2024.07.06